반응형
문제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7795
7795번: 먹을 것인가 먹힐 것인가
심해에는 두 종류의 생명체 A와 B가 존재한다. A는 B를 먹는다. A는 자기보다 크기가 작은 먹이만 먹을 수 있다. 예를 들어, A의 크기가 {8, 1, 7, 3, 1}이고, B의 크기가 {3, 6, 1}인 경우에 A가 B를 먹을
www.acmicpc.net
풀이
A 배열에서 한 개씩 B 배열에 대해 탐색을 진행하면서 작은 값을 찾아야 한다. 이 때 2중 for문을 이용해서 A의 한 원소에 대해 B의 원소 전부를 탐색하면 시간초과가 발생한다. 따라서 B를 정렬 후 A 보다 작은 값의 개수를 이분 탐색으로 찾으면 된다. 일반적인 이분 탐색으로는 A 보다 작은 값의 개수를 찾을 수 없으므로 이분 탐색을 변형해 사용한다.
B 배열 중에서 A의 값보다 작은 값 중에 가장 큰 값의 인덱스를 반환하면 A의 값보다 작은 B의 원소 갯수를 알 수 있다.
코드
import java.util.Arrays;
import java.util.Scanner;
public class Main {
static int N, M;
static 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static int[] A, B;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int t = sc.nextInt();
for (int i = 0; i < t; i++) {
input();
solve();
}
}
private static void solve() {
Arrays.sort(B);
int cnt = 0;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cnt += find(A[i]);
}
System.out.println(cnt);
}
private static int find(int x) {
int l = 0, r = M - 1;
int result = 0;
while (l <= r) {
int mid = (l + r) / 2;
if (B[mid] < x) {
result = mid + 1;
l = mid + 1;
} else {
r = mid - 1;
}
}
return result;
}
private static void input() {
N = sc.nextInt();
M = sc.nextInt();
A = new int[N];
B = new int[M];
for (int i = 0; i < N; i++)
A[i] = sc.nextInt();
for (int i = 0; i < M; i++)
B[i] = sc.nextInt();
}
}
반응형
'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11725 - 트리의 부모 찾기 (0) | 2022.02.17 |
---|---|
백준 10816 - 숫자 카드 2 (0) | 2022.02.05 |
백준 15970 - 화살표 그리기 (0) | 2022.02.02 |
백준 20291 - 파일 정리 (0) | 2022.02.01 |
백준 1015 - 수열 정렬 (0) | 2022.01.31 |